본문 바로가기
시사

연금저축 세액공제 600만 원, 정확하게 계산해드립니다!

by parkjinwan 2025. 6. 29.
반응형

🔍 1. 왜 지금 연금저축인가요?

  • 연금저축의 핵심 장점은 ‘절세’와 ‘노후 대비’라는 두 마리 토끼입니다.
  • 연간 최대 600만 원 납입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,
    급여 5,500만 원 이하 직장인은 16.5% (지방세 포함),
    초과 시 13.2%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

📌 2. 세액공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
총급여세액공제율최대 환급액 (600만 원 기준)
≤ 5,500만 원 16.5% 99만 원
  13.2% 79.2만 원
 
  • 예: 연봉 4,500만 원인 직장인이 600만 원 연금저축99만 원 환급

📊 3. 세제 흐름은 이렇게 됩니다

  1. 납입 시: 세액공제 → 지금 세금 환급
  2. 운용 중: 과세 이연 → 지금 세금 안 냄
  3. 연금 수령 시:
    • 나이 따라 낮은 세율 적용:
      •  55~70세 → 5.5%,
      •  70~80세 → 4.4%,
      •  80세 이상 → 3.3% 
  • 중도 해지하면 기타소득세(16.5%) 발생, 절세 혜택도 사라지니 주의! 

🆚 4. IRP와 비교

  • 연금저축: 연간 6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
  • IRP: 연금저축 포함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 

즉, 연금저축과 IRP를 함께 활용하면
→ 연간 최대 900만 원 납입최대 세액공제 가능한 전략이죠.


🧾 5. 연말정산 ‘절세계좌 3종’ 전략

  • 연금저축 + IRP + ISA 조합 사용으로 절세 극대화 가능
  • 예:
    • 연금저축 600만 원 → 99만 환급
    • IRP 추가 납입으로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 달성 
  • ISA는 비과세 혜택까지 추가되니 절세계좌 3종 세트 추천!

📝 6. 정리 & 실제 팁

  • 절세 최대화 포인트:
    1. 연금저축 600만 원 채우기
    2. 여유가 있다면 IRP 추가 납입 (최대 합산 900만 원 한도)
    3. 가능하면 ISA도 함께 운영

주의할 것:
중도 해지 시 절세 혜택 날아가고,
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율 적용되며,
의무 가입기간 확인 필수